바뀜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22 바이트 추가됨 ,  2018년 6월 10일 (일) 00:54
잔글
다운로드한 iso 파일이 서버에 있는 iso 파일과 동일한지 무결성(integrity)을 검증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다운로드를 하면서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우리가 다운로드한 iso 파일은 대부분 원본과 동일할 것 입니다. 하지만 꼼꼼해서 나쁠 것은 없습니다.
데이터 통신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패리티 비트(parity bit) 또는 해밍 코드(hamming code)를 사용합니다. 해밍 코드는 오류의 검출 뿐만 아니라 오류의 수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ECC(Error-Correcting Code) 메모리에서도 사용합니다. ECC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 메모리와는 달리 오류의 검출 및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파일(file)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해시(hash) 함수를 사용합니다. 서버에 있는 iso 파일과 우리가 다운로드한 iso 파일의 해시 값이 같다면 올바른 파일이므로 안심하고 사용해도 됩니다. 만약 해시 값이 서로 일치하지 않다면 iso 파일을 파일이 손상된 것이므로 다시 다운로드 해야합니다. 참고로 해시 값은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 digest) 또는 핑거프린트(fingerprint)라고도 부릅니다.
리눅스에서 해시 값을 검증하는 도구로 md5sum을 사용합니다. md5sum은 데비안에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md5sum은 MD5라는 해시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참고로 MD는 Message Digest를 의미하며 해시 알고리즘에는 MD5 뿐만 아니라 MD4, SHA 등도 있습니다.
만약 USB로 buster를 설치한다면 윈도우에서는 [https://sourceforge.net/projects/win32diskimager/ Win32 Disk Imager]를
사용하거나 리눅스에서는 dd 명령어를 사용해서 이미지를 구우면 됩니다. Win32 Disk Imager나 dd 명령어의 구체적인 사용법은 생략합니다.
 
== 레이드(RAID) 설정 ==

둘러보기 메뉴